학과 소개
21세기는 정보통신이 도로, 전기, 수도, 가스 등과 같은 사회 인프라의 중심이 되는 정보화 사회 또는 지식 기
반 사회가 될 것이다. 인하대학교는 이와 같은 정보통신분야의 중요성과 전문 인력 수요의 급증이 예측됨에 따
라 지난 1999년에 정보통신분야를 인하대학교의 특성화 분야로 선정하였으며, 2001년에 정보통신공학과를
독립 출범하였다. 정보통신공학과는 공학교육인증(ABEEK)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졸업생의 역량강화를
위하여 다양한 이론 및 실습 교과목을 제공하고 있다.
학과 인재상
- 전문성: 정보통신분야의 전문기술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른다.
- 창의성: 기초과학의 충실한 학습과 창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정보통신분야의 시스템, 부품, 공정 방법을 분석하고 설계하는 능력을 기른다.
- 국제성: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지식과 지속적 자기계발을 통해 세계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엔지니어로 성장시킨다.
교육 목표
정보통신공학과에서는 21세기 첨단 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에서 IT기술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하고 지역사회 및
국가 발전에 기여하며 국제화, 세계화를 선도할 고급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데 교육 목적을 두고 있다. 이러한
교육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 목표는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과 자질에 부합하도록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.
- 인격도야: 올바른 사고 판단을 바탕으로 인류 복지에 기여하는 인재를 육성한다.
- 진리탐구: 실천적 진리탐구를 통하여 세계적 안목을 갖춘 창의 도전의 인재를 육성한다.
- 사회봉사: 보편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국가와 민족의 공동체 선을 추구하는 지도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한다.
졸업 후 진로
관련분야의 대기업은 물론, 국내 우수한 정보통신분야의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외국 유학이 가능하며, 정보통
신 관련 국책연구소 및 기업체 연구소에서 연구 수행이 가능하다. 기업체의 경우 유무선 전자통신, 광통신, 통
신용 하드웨어, 멀티미디어, 인터넷 소프트웨어 분야의 업무를 맡게 되며, 개인에 따라서는 벤처기업이나 창
업이 가능하다.
- 통신 관련: SK텔레콤, LG텔레콤, KT 등
- 통신기기 관련: 팬택, SK텔레텍, 휴맥스 등
- 전자 관련: 삼성전자,
삼성종합기술원, LG전자, 삼성전기, 삼성SDI 등
- 컴퓨터 관련: 삼성SDS, 삼보컴퓨터, 한국IBM등
- 방송 관련: KBS, MBC, SBS 등
- 국가연구소: 전자통신연구원, KIST, 전자부품연구소 등